🪟

[Windows] KT 공유기에서 원격 데스크탑 포트포워딩 설정

Table of contents
KT 공유기에서 원격 데스크탑 포트포워딩 설정 가이드

1. http://172.30.1.254 에 접속

공유기 접속을 위한 페이지

2. 로그인

2-1. 최초 로그인인 경우

초기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WiFi Home계열 또는 홈허브 계열로 나뉘며,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.
현재 집에서 어떤 계열을 사용하는지 모르겠다면, 둘 다 해보거나 KT에 문의해보면 될 듯 !
WiFi Home 계열 초기 아이디/패스워드
아이디 : ktuser
비밀번호 : homehub
홈허브 계열 초기 아이디/패스워드
아이디 : ktuser
비밀번호 : megaap

2-2. 계정정보(아이디/패스워드) 설정 후, 잊은 경우.. #아이디/패스워드찾기

a.
아무렇게나 입력 후, 보안문자 입력하고 로그인을 누르면.. 아래와 같이 로그인 실패 팝업이 뜨게 된다. 여기서 계정 재설정 클릭 !
KT 공유기 접속 계정 재설정
b.
암호키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타나는데, KT 공유기에 가보면, WiFi 비밀번호가 작성되어 있는 스티커가 붙어있을 것이다 ! 이 스티커에 암호키가 기재되어있는 암호키를 입력한다.
우리집은 위와 같이 되어 있다. 작년인가, 올해 교체한.. 나름 최근 버전 ! 이전 모델에 붙어있던 스티커엔 QR코드도, Mesh정보도 없었던거 같은뎅..
암호키 정보를 기재해주고 적용 버튼을 눌러준다.
그럼 인증이 되었다며,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라는 팝업이 나타난다 !
c.
KT 공유기에 접속 시 사용 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.
사용자 계정 설정 화면
d.
설정한 아이디와 패스워드, 보안문자 입력 후 로그인
로그인 화면
e.
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상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!
공유기 관련 정보 확인가능

3. 포트포워딩 할 IP주소 및 MAC주소, LAN 번호 확인 (유선랜 기준)

포트포워딩 할 MAC주소와 IP주소 확인

포트포워딩 할 PC에서 아래와 같이 IP주소를 확인한다.
1.
시작 버튼 우측 돋보기를 클릭하여 이더넷 설정 입력 후 ENTER
이더넷 설정 검색
2.
아래 창에서 IP주소와 MAC주소를 확인 할 수 있음
이더넷 설정 확인
CMD

공유기에 연결된 LAN 포트정보 확인

접속한 http://172.30.1.254/상태정보 - 유무선 단말 정보 탭을 클릭해 보면, 현재 접속한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(기기) 정보들을 확인 할 수 있다.
위에서 확인한 MAC/IP 주소에 해당되는 포트정보를 확인한다.
내 경우에는 위에서 확인한 MAC 주소가 70:*******:11 이었고, IP는 172.***.***.10 이었으므로, LAN은 3번 포트 LAN3 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.
공유기에 접속 된 단말 확인

4. 포트포워딩

장치설정 - 트래픽 관리 에서 설정 할 수 있다.
포트포워딩 설정화면 - 트래픽 관리 탭에서 설정가능
외부 포트 : 내가 접속 할 때 사용 할 포트번호를 설정하는 것으로, 맘대로 설정 (내 경우엔, 3456 입력)
내부 IP 주소 : 위에서 확인한 IP주소, 내 경우 172.***.***.10
내부 포트 :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을 사용할 것이므로, RDP 포트번호 3389 입력
프로토콜 : TCP
설명 : 해당 포트 포워딩 설정에 관련하여 메모해 둘 내용 기재, 입력 안해도 무관
참고로,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을 사용하려면 포스팅을 참고해서 추가적인 설정을 해줘야 한다 !

끝 !